개인적 관심사이기에 스크랩합니다.



7월에는 아내의 생일이 있습니다.

결혼하고 첫 생일이라 선물 뭐해주나 고민했는데, 와이프가 계속 강아지 키우고싶다고 하던게 생각나더군요.

제가 모은 비상금으로만 준비하기는 부담이 좀 크고 해서 살짝 운을 띄워보았습니다.

 

나 : 내가 비자금으로 19만원정도까진 모았는데.. 그거 보태서 생일선물로 강아지 들여올래?

와잎 : 우와와왕 최고최고 최고의 선물이지!!

 

그래서 지난 일요일인 7월 10일에 가까운 믿을수 있는 분양샵에 갔습니다.

 

샵에서 이런저런 설명 듣다가 직접 안아보고 정이 확 끌리는 아이로 데려가는게 가장 좋다고..

저는 워낙에 정이 많은 사람이라 안으면 그냥 그 아이 데려갈꺼라고 사양하는데도 극구 품에 안겨주더군요.

 

제 예상대로 처음 강아지랑 한 10분? 정도 안고있다 그대로 데리고 오기로 했습니다 -_- ;;

 

KakaoTalk_20160712_125240770.jpg

 

장모치와와 2개월된 암컷이고, 그중에도 '이사벨라'라고 되게 희귀한 종이라네요.

눈, 코, 털 색깔이 모두 밤색이어야 한다나;; 뭐 그런건 잘 모르겠고..

건강해보이고 발랄하고 저랑 와이프를 참 잘따르길래 고민없이 데려왔습니다.

 

신혼초에 여기저기서 화분을 선물받았는데 식물과 상극인 저희부부는 단 하나의 화분을 빼고 모두 죽였습니다 -_- ;;

유일하게 살아서 잘 크고 있는 화분이 '율마'라는 허브 화분인데요. 아내가 매우 아껴하고 있습니다.

율마도 잘 살아서 크고 있으니 율마 동생이라고 이름을 '율무'라고 짓더군요.

(애초에 왜 화분하고 강아지가 형제가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KakaoTalk_20160712_125208511.jpg

첫째날.. 낮설어서 그런지 잠을 많이 자고 앉아서 두리번 거리는 시간이 대부분이더군요.

 

KakaoTalk_20160712_125209362.jpg

둘째날.. 좀 익숙해졌는지 케이지에서 나오니 막 여기저기 집안 곳곳을 탐험합니다.

 

KakaoTalk_20160712_125212455.jpg

킁킁~ 이건 무슨 냄새지?! 

(발바닥이 깨끗하지 않아 죄송합니다 ㅜ_ㅜ)

 

KakaoTalk_20160712_125211301.jpg

앙!!

아직 영구치가 나오지 않은 유치 상태이고, 이빨이 계속 나는 중이라 간지러워서 뭐만 갖다대면 무조건 물고 늘어지네요;;

 

KakaoTalk_20160712_125213293.jpg

잘때 발바닥을 찍어봤습니다. 젤리젤리~

 

KakaoTalk_20160712_125214941.jpg

얘는 이러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걸 좋아하더라구요.

 

개를 키워본건 아~주 어릴적 말티즈를 3개월정도 키워본게 다입니다.

그것도 어머니께서 질색을 하셔서 결국 시골에 맡겼고, 할아버지께서 몸보신 하신다고..

(그 먹을것도 별 없는걸... -_- ;;)

 

강아지 키우는건 솔찍히 평소에 생각도 안했는데, 와이프 생일선물 뭐하지 고민하는순간부터 데려오기까지

거의 두시간도 안되는 짧은 기간에 즉흥적으로 치뤘네요 ㅎㅎ;;

가볍게 쓸 파일DB로 SQLite를 추천받아서 하루이틀 정도 자료를 봤는데..

솔찍히 국내 자료에서는 바로 갖다 쓰기 쉽게끔 되어있는 예제나 샘플코드가 없더군요.


뭐.. 블로그나 포럼에서 원론적인 강좌는 몇몇 있긴 한데, 예제로 작성한 코드에서 가타부타 설명도 없이 튀어나오는

컨트롤 변수 같은것도 많고, 결과적으로 바로 컴파일해서 직접 분석해볼 수 있는 풀 소스 코드도 없었습니다.


결국 코드프로젝트와 기타 자료들을 정리해서 SQLite 샘플을 만들었습니다.

기본적이지만 꼭 필요한 기능만 넣어뒀고, 아마 예제코드만 대강 훑어보셔도 '아 SQLite는 이렇게 쓰는거구나' 하고 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SQLiteSample_src.zip

SQLiteSample_bin.zip



예제 소스코드는 VS2010을 사용하여 C#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사용한 예제 DB는 하나의 테이블에 9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 목

상 세 

 테이블 명

Table_Env 

 필드

 Scenario_name

 char(30)

 Env_Location

int 

 Env_Season

 int

 Env_Weather

 int

 Env_TimeOfDay

int 

 Env_CloudLow

double 

 Env_CloudHigh

double 

 Env_CloudQuantity

int 



바이너리 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폼이 뜹니다.




순서대로 DB파일 오픈, 항목 추가, 항목 내용 갱신, 시나리오명으로 항목 찾기, 항목 삭제 버튼입니다.

예제 소스코드를 보시면 내용이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목의 갱신이나 찾기, 삭제 시 DataGridView의 첫번째 열 정보인 시나리오명을 기준으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DB를 각자 필요에 의해 구성하실때 보통 필드 첫 열은 Index number로 하는 경우가 많으니 그 부분은 각자 재량껏 수정하시면 되리라 생각됩니다.


일단 예제 만들어 두고 저도 까먹으면 갖다쓰려고 포스팅 하는거라 그다지 주절주절 더 쓸 말이 없네요.


음.. 그럼 이만 뿅~☆

1. 담배연기 vs 전담연기 물에 희석 동영상


전자담배를 흡입 후 내뱉는 연기는 단순 수증기입니다.




2. 전자담배 유해성에 대한 자료


1) 액상으로 부터의 유해성

건강에 제일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건 아무래도 액상

액상의 주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PG),글리세린(VG), 향료, 니코틴에다가 추가적으로 색소가 들어감.

니코틴은 우선 발암물질이라고 규명된건 없지만 구토, 맥박 상승등 니코틴 중독현상을 유발.

물론 전자담배의 니코틴은 일반 담배보다도 흡수율이 낮지만 니코틴 농도가 짙은 액상을 피우면 커피여러잔 

마신것처럼 심장이 뛰고 구토가 일어나나는 경우가 있음.


그리고 목넘김에 관한 부분에서 니코틴 농도가 목넘김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니코틴농도가 

강하면 목이 아플수도 있음.


그리고 합성 글리세린인 PG와 글리세린(VG)은 65도 이상 부터 미세한 수증기와 같이 기화되고 450도 이상으로 

가열시 발암물질인 아크로레인이 발생함.

이는 유지성분인걸 태울때도 발생하고 일반 담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서 말한것처럼 전자담배는 태우는게 아니라 기화시키는 것이기에 아크로레인의 위험성은 없음.


다만 PG의 경우 알러지를 일으키는 사람이 꽤나 있어서 조심을 해야 하는데, 알러지 현상은 가슴이 갑갑하거나 

눈충혈, 피부 간지러움 등이 있는데 나중에 호전되거나 정 맞질않으면 VG만 들어있는 액상을 사서 피우는걸 권장.


마지막으로 향료의 유해성과 관련해서는 우선 전자담배는 섭취과 아니라 흡입이기에 섭취시에는 아무런 문제없는 

향료일지라도 흡입과 관련해서는 말이 달라서 아직 제대로 밝혀진건 없지만 합성향료보단 천연향료가 아무래도 

더 낫다고 보임.


합성향료중에 영화관 팝콘과 같이 구수한 향을 내는 다이아세틸이란 물질이 있는데 이게 폐암을 유발시키는 

발암물질이다보니 2013년 부로 해외 액상 판매 사이트에선 다이아세틸 포함 유무를 표시하고 있음.

색소도 마찬가지임.


2) 무화기에 의한 유해성

무화기는 우선적으로 재질이 중요하고 내부에 사용하는 기화장치의 종류가 중요.

대부분의 기성제품들은 고저항으로 세팅된 발열코일부와 유리섬유로 액상을 기화시킴.


고저항이다보니 발열 온도가 그리 높지 않지만 기성제품 피는 사람들 중 카트리지를 주기적으로 교환안하던가 

하나로 장기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음.

이는 전자담배 사용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 


대부분의 기성제품은 중국에서 만들어지기에 발열 코일의 상태도 모를뿐더러 피면 필수록 슬러지가 끼게 됨. 

그걸 인지 못하고 피다보면 중금속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함.


발열코일은 니크롬선이나, 칸탈선이 주류인데 둘다 니켈과 크롬, 알루미늄까지 섞인게 있기때문에 오래

사용한다고 좋을께 전혀없음.


또 하나 기성제품 대부분은 브라스(황동)에 도금인데 크롬도금이 일반적.

물론 6가 크롬처럼 물고빨면 뒈지는 그런 도금은 아니더라도 계속 사용하다보면 벗겨짐.


이러한것들 때문에 RBA(Rebuildable atomizer)라는 내가 내부를 직접 교체하고 만드는 무화기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늘어남. (본인도 무화기 교체형을 사용 중) 

물론 완전히 기성제품보다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재질이 스테인레스인게 대부분이고 내부에 위치한 발열부도 

자신이 만들기에 기성제품보다는 안전하다 볼 수 있음.


2013년 8월에 CASSA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전자담배 흡연자들을 모아두고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조사함.

연구 결과 전자담배 주변 간접흡연 피해에 대하여 니코틴 검출 전혀 안됨.

일산화탄소와 타르는 당연히 없음.


3) 담배와 전자담배의 발암물질 함유량 이슈 관련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연구팀이 일본 국내 유통되는 전자담배의 증기에  포함돼 있는 성분을 분석한

결과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발암 물질이 검출됐으며, 전자담배의 액상을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는 일반 담배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최대 10배가 많았다."라고 일본 TBS에서 보도함.


국내 언론에서는 이 보도를 그대로 인용하여 "전자담배 발암물질이 일반담배보다 10배 많다"라고 기사를 냄.

그러나 이는 완벽한 왜곡과 호도 기사임.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연구팀의 조사 결과 원문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있다.


(http://www.ecigarette-research.com/web/index.php/2013-04-07-09-50-07/2014/188-frm-jp)


실험 전체적으로 포름알데히드 수치 또한 일반담배를 훨씬 밑도는 수준이나,

과전압, 탄화한 심지, 기기오작동 등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상당히 높은 양의 포름알데히드 검출이

실험 전체 케이스 중 '단 한건' 발생함.

실험 전체적인 결과는 "전자담배의 포름 알데히드 수치는 일반담배보다 현저히 낮았다"가 사실임.


실험보고서의 결론 부분에서도 다시한번 명백히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해롭지 않다."

라고 언급하고 있음.



또한, 전자담배에는 일반 담배에 포함된 타르, 시안화수소, 우레탄, 페놀, 나프팁아민 등 수백개의 발암물질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영국 가디언지에서는 "전자담배는 니코틴을 제외한다면, 일반담배에 비해 1/1000 정도 덜 해롭다."라고 밝힘.


4) 포름알데히드 관련 이슈

한국 보건복지부 자료를 참고하면, 전자담배 액상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의 수치는 0.02 ~ 7.82mg/L 이다.




참고로, 국내 유통되는 우유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는 0.002mg/L 이다.


본인이 사용하는 전자담배 액상은 한병에 18.5ml, 그냥 반올림 해서 20ml라고 치겠다.

이 한 병을 약 2~3주 사용한다. 악조건으로 설정하기 위해 2주 사용으로 보면 하루 1.43ml의 액상을 사용한다.

하루 사용량의 전자담배 액상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의 양은 최소 0.0000286mg/L에서 최대 0.011mg/L 이다.

최소치를 기준으로 보자면 우유보다도 몇백분의 일 밖에는 들어있지 않다.

전자담배의 발암물질이 걱정된다면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 일체를 먹지 말아야 한다.


전자담배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를 ppm 단위로 환산하면 0.02ppm ~ 7.82ppm 이다.

이하는 자연적으로 식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의 양이다.

사과 : 6.3 ~ 22.3ppm

바나나 : 16.3ppm

포도 : 22.4 ppm

배 : 38.7 ~ 60ppm

표고버섯 : 6~54.4ppm




전자담배가 위험하다면, 반대로 굶어 죽는게 더 빠르지 않은가.


5) 아세트알데히드 관련 이슈

술에 주로 포함된 발암물질이며, 숙취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한국 보건복지부 자료를 따르면 전자담배 액상에 포함된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은 0.1 ~ 11.81mg/L 이다.


다음은 식품위해평가부 신종유해물질팀에서 2013년 12월 제출한 보고서의 내용 중 

각 주류에 포함된 아세트 알데히드의 양이다.


소주 : 9.1mg/L

위스키 : 43.2mg/L

브랜디 : 59.3mg/L

맥주 : 1.6 ~ 3.6mg/L

탁주(막걸리) : 10 ~ 11mg/L

과일주 : 19.5mg/L

매실주 : 28.1mg/L

포도주 : 44.7mg/L





본인의 하루사용량 기준으로 전자담배로 부터 흡입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은 0.017mg/L 이다.

캔맥주 작은 캔의 용량 355ml 기준으로 맥주 한캔에 들어있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은 최대 1.278mg/L 이다.


두달하고도 보름동안 전자담배를 피워야 맥주 작은거 한캔 분량의 아세트알데히드가 흡수된다.


이렇게까지 정리한 글을 보고도 전자담배가 담배보다 유해하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지식과 상식 수준을 의심해봐야 할 문제가 아닐까.



3. 결론 및 개인적인 의견


담배는 끊는게 가장 좋다. 그건 누구나 안다.

하지만 담배가 왜 마약이라고 불리는가.. 중독되면 어지간한 노력으로는 끊기가 쉽지 않다.


정부가 국민건강 증진을 목표(라고는 하지만 이거 믿는사람이 얼마나 될까..)로 담뱃값을 인상하였고,

흡연자임에도 담배 냄새를 싫어하는 개인적 이유로 전자담배로 연초를 완전 대체했다.


물론 전자담배를 사용하더라도 주기적인 카토마이저 코일 교체, 확실히 검증된 정품 액상의 사용에 주의를
해야 유해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이점은 주위 전자담배 사용자들에게도 늘 주의시키고 있다.


일상에서 전자담배 꺼낼때마다 '전자담배가 담배보다 더 안좋다던데.'라는 황당무게한 소리를 너무 많이 

들었고, '그거 잘못된 상식입니다.'라고 번번히 얘기하기도 지쳐서 단편적으로 보아왔던 자료들을 모아서

글로 작성해둔다. 


이제 누가 또 그런 황당한 얘기를 하면 그냥 이 글의 링크를 던져주리라.




# 참고자료 #

1. NEWSIS 보도자료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109_0013404253&cID=10201&pID=10200)

2. 네이버 '무광'님 블로그

(http://blog.naver.com/charbell/220194619878)

3. 일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연구팀의 조사 결과 원문

(http://www.ecigarette-research.com/web/index.php/2013-04-07-09-50-07/2014/188-frm-jp)

4.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문방구 미니게임콘솔을 완성한게 벌써 1년하고도 6개월 전입니다.

게임이야 와이프와 함께 보글보글, 테트리스도 하고, 미소녀 탈의 땅따먹기도 하고.. 즐겁게 놀고 있습니다만,

당시엔 고급스럽게 보이던 오락기 외관이 왠지 슬슬 질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뜻한 색깔로 리폼을 좀 해볼까 해서 디자인 시안을 몇가지 만들었습니다.

디자인은 좀 뻔뻔하지만, 요즘 유행하는 뷰릭스 디자인을 많이 참고했습니다.

쉽게쉽게 가자 이거죠 뭐 ㅎㅎ;;


No.

 베이스 컬러

 패턴 컬러

1

블랙

화이트

2

레드

3

옐로

4

화이트

블랙

5

레드

6

블루



No.1 블랙-화이트





No.2 블랙-레드





No.3 블랙-옐로





No.4 화이트-블랙





No.5 화이트-레드





No.6 화이트-블루

주변 지인들과 인터넷 인맥을 동원해서 여기저기 물어보고 반응 제일 괜찮은걸로 고르려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5번 화이트-레드와 3번 블랙-옐로가 좀 땡기네요.



# 내용 추가 #


남자는 핑크!! 라고 알려주신 에디랩 카페의 캘리님 의견에 따라 핑크를 추가해봤습니다.


No.7 블랙-핑크




No.8 화이트-핑크



개발 시 자주 쓰지만, 한동안 안쓰다 또 쓰려면 까먹고 또 자료 찾아보려면 그게 여간 귀찮은게 아닌지라

제가 자주 쓰는 모듈들을 레퍼런스 클래스 하나로 묶어버렸습니다.


버그 수정 및 예제 프로그램 작성 등 버전 1.03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PreDefined.h


 각 모듈에서 필요에 따라 재정의할 것들을 선정의 해놓은 헤더.


CloudTree.h

 

 CloudTree 클래스와 각 모듈에서 필요한 클래스 정의가 들어있는 헤더. 

 

CloudTree.cpp


 CloudTree 클래스와 각 모듈이 구현되어 있는 소스파일.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에 위 세파일 복사하고, class view에서 각 파일 등록해준 후 쓰면 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Cloudtree 클래스 포인터 선언할 곳에 #include "CloudTree.h" 포함하는건 기본 센스아니겠습니까 ㅎㅎ


version : 1.03

date : 2016. 3. 21


포함하고 있는 함수 목록

  • Eucledian Distance(2D/3D) - xy 2차원 좌표간 거리 / xyz 3차원 좌표간 거리
  • 가우시안 랜덤 함수 - 중심값과 표준편차를 설정하여 가우시안 랜덤값을 발생시키는 함수
  • 공유메모리 할당 / 해제 함수
  • 공유메모리 할당 / 해제 간소화 함수 (유져 편의성)
  • TCP/IP 서버-클라이언트 함수 (수정)
  • 위경도 이용하여 정북 기준으로 방위각 구하는 함수
  • 위경도 이용하여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함수
  • ECEF(지구중심좌표계) 좌표를 위경고도로 변환하는 함수
  • 클럭 타이머를 이용한 경과시간 체크 함수
  • 크리티컬 섹션 잠금/해제



이렇게까지 설명해줬는데 행여라도 어떻게 쓰는지 모른다는 분이 계실까봐 써보는 간단한 활용 예제.


  CloudTree * cloudtree new CloudTree ();
  cloudtree->CreateSharedMemSimple();
  cloudtree->DestroySharedMemSimple();


Cloudtree형 클래스 포인터 하나 만들어서 각 모듈 불러오면 됩니다.

공유메모리 모듈의 경우 두가지가 있는데, 일반 모듈은 직접 정의해서 쓰고 싶을때 쓰시고 Simple 붙은 모듈은 그냥 호출만 하시면 PreDefined.h에 정의된 stShareData 구조체의 포인터 m_pShared를 통해 공유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stShareData 구조체는 필요에 따라 각자 알아서 수정해서 쓰시면 됩니다.


이래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이 계신다고 하시면..



구름나무 레퍼런스 클래스 v1.02 예제 프로그램과 소스코드


Reference_class_sample.exe


 구름나무 레퍼런스 클래스 기능 구현 예제 프로그램.


Reference_class_sample_v103.zip


 구름나무 레퍼런스 클래스 기능 구현 예제 소스코드. 



예제 프로그램과 소스코드를 보시면 아마 이해가 빠르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제 소스코드는 VS2010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하는 예제 프로그램 화면입니다.

기능은 프로그램 상에서 충분히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생각합니다.









그럼 v1.03 게시물은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