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 크로스본 X1 Ver.KA 여전히 작업중입니다.

정말 미친듯이 바쁜 한주를 보내고 한숨 돌릴 짬이 생긴 주말..

크로스본에 데칼작업을 야금야금 진행했습니다.

애들이 놀아달라 보채면 잠시 놀아주고, 아내가 설거지 부탁하면 잠시 설거지 하고,

예능 뭐 재밌다고 하면 잠시 옆에 앉아 같이 봐주고.. 그러면서 짬짬히 조금씩 진행했는데요.

오늘 작업은 요까지만 할까? 하다가 왼쪽 발등 부품에 크롬실버가 잦은 터치로 살짝 까진게 보였습니다.

보수해줘야겠네.. 흠.. 오늘은 이거까지만 하자.

.. 라고 맘먹은게 문제였습니다.

『시간은 벌써 열두시~ 어떡해 벌써 열두시야~♬』

자정을 넘긴 시간.. 피곤이 슬슬 몰아쳐오기 시작하는걸 무시한 댓가는 혹독했습니다.

크롬 도료가 아주아주 크으은 방울로 다리쪽에 튀었습니다.

.. 데칼 여분이 없다!! 바로 확인해야한다!!

다행히 신너로 잘 마무리가 되는 중이었는데, 무릎아래쪽 노랑 버니어 부품 사이로 들어간 크롬도료가

마치 먹선을 거기만 넣은것 마냥 잘 보였습니다.

노랑 버니어 부품을 탈거하고 면봉에 신너묻혀 닦고..

부품을 끼우는 순간..

 

어?!

 

여름날 가뭄든 논바닥처럼 쩍쩍... 내마음도 쩍쩍...

 

하아.. 복합 골절 수준으로 부품에 균열이 쫙 쫙 쫙~~~

신너로 너무 문댔나봐요 ㅜㅜ

가까이서 보지 않으면 크게 티는 나지 않으나...

이미 제 눈에는 보였단 말이죠.

 

자세히 보지 않으면 잘 안보이긴 하는데... 남들은 몰라도 내가 아는데...

 

나는 못봤다 레드썬 할까.. 무수지접착제로 접착하고 사포질을 열심히 할까 고민하다가

사설 부품구매 사이트에서 일단 해당 부품을 주문했습니다.

.. 이렇게 완성까지 가는길이 또다시 가시밭길에 돌입합니다 엉엉 ㅜㅜ

지난 작업기에서 콕핏커버와 스커트를 개조하여 아래의 포징을 목표로 개조를 마쳤습니다.

달롱님의 리뷰에서도 언급된 바 있지만, MG 크로스본의 악력은 매우 형편이 없습니다.

빔잔버를 제대로 들고 있을 수 없지요.

 

사실 아래 사진은 손바닥에 투명 양면테이프를 붙여 빔잔버를 들고있는 사진입니다.

매번 작업기마다 다음 개조작업의 숙제가 포함되어있네요.

 

악력이 문제다?! 늘 그렇듯 네오디뮴 자석으로 해결하면 됩니다.

 

MG 크로스본의 경우 설정상 소형 기체이기 때문에 손도 작습니다.

따라서 자석도 가장 작은 1Φ x 1mm 자석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네오디뮴 자석은 작을수록 자력도 약해집니다.

약한 자력을 보충하기 위해서 자석 두개를 나란히 심어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손바닥과 빔잔버의 손잡이에 네오디뮴 자석을 이식.

이렇게 나란히 두개를 심을 경우 같은 극끼리 한면을 바라보게 심으면 두 자석이 서로를 밀어냅니다.

따라서 손바닥 표면으로 올라오는 두 자석의 극은 N과 S가 각각 보이도록 심으셔야 하고, 빔잔버 및 무장들의 손잡이에

자석을 심을때도 쥐는 방향을 고려하여 자석의 극성을 잘 확인 후 이식해야 합니다.

 

무장을 고정적으로 한쪽손에만 쥐려하는 경우엔 문제가 안되지만, 양쪽 손에 번갈아가며 쥘 경우에는 반대쪽 손에

이식할 자석의 극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상기 사항을 숙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손과 무장들에 네오디뮴 자석을 이식하면...

 

자석의 힘으로 눕혀서 들어도 잘 들고있습니다.
정면에서는 자석이 잘 안보이네요. 보여도 뭐 상관은 없다만...

이렇게 해서 빔잔버의 고정성은 확보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또 다른 욕심이 생깁니다.

이왕 손에 자석을 심었는데, 더 무거운걸 쥐어줄 수도 있잖아요?

 

크로스본 하면 뭐다?!

 

샷랜스!!

 

그러나, MG 크로스본 X1은 2006년에 발매한 킷입니다.

15년이나 지난 킷이기에 전용 악세사리가 씨가 말라버렸습니다.

레진 샷랜스를 구해보려 했으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여, 대체품으로 고토부키야의 M.S.G 웨폰 배틀랜스를 구매하여 간단히 네오디뮴 자석을 심어 쥐어봤습니다.

일단 크기는 합격. 그러나 손잡이가 너무 작아서...

M.S.G 웨폰 자체가 HG급 크기의 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제품군이긴 하지만, 다행히 크로스본은 소형기체입니다.

손에 쥐어보니 길이나 부피감은 전혀 이질감 없이 잘 어울렸습니다.

네오디뮴 자석으로 충분히 들고있을 수도 있었구요.

 

문제는 스케일이 다르다보니 손잡이가 얇아 작아 쥐는 모양새가 어색하고,

손잡이의 길이도 짧다보니 크로스본 팔뚝의 브랜드마커때문에 간섭이 심합니다.

 

따라서 랜스의 손잡이도 개조에 들어갑니다.

손잡이의 길이와 두께가 크로스본의 손에 맞추어 개조되었습니다.
개조의 재료는 먼 옛날부터 부품을 여기저기 나눠주고 산화된 MG 페담의 유품인 빔라이플의 손잡이입니다.

프라모델 개조하는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으나, 저는 개조 재료로 MG 페담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프레임의 가동구조나 크기도 너무 좋고, 뭐하나 버릴게 없는 것 같습니다.

 

크기와 두께감이 딱 적당하니 이제 마찬가지로 네오디뮴 자석을 심어주면..

메탈빌드의 포즈를 따라하기 위해 급하게 공수한 액션베이스2
아주 찰떡같이 잘 어울리네요 ㅎㅎ

요렇게 아주 찰떡같이 손에 촥 감기는 랜스가 개조 완료되었습니다.

비록 크로스본 샷랜스의 원래 형상과 꽤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정도면 납득 가능한 선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찔끔찔끔 진행중인 데칼작업을 끝까지 다 하고, 랜스 도색까지 마치면 모든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다음번 포스팅은 완성 게시물이 되겠네요.

일단 완성글이 아닌 작업기가 계속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드리고싶습니다.

중요하진 않으니 바쁘신 분은 패스하셔도 됩니다 ㅎㅎ

 

더보기

저는 보통 하나의 킷으로 완성 포스팅까지 세개 이상의 글을 쓰게됩니다. 분명 새로운 킷의 작업을 시작할 때는 이러저러하게 작업해서 요런 결과물을 내야지 하고 목표를 잡는데, 문제는 그 작업결과물을 보기까지 의외의 복병들을 예측 못하기 때문이죠.
프라모델 개조 또는 도색을 할때 정확한 측정과 계량으로 작업하는 스타일이 아니기에 생기는 문제입니다만.. 작업스타일을 굳이 바꾸지 않는건 저는 완성작에 대한 만족보다는 완성까지 가는 작업 과정을 즐기는 편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작업기도 그래서 추가된 포스팅인데요...

 

지난 작업기에 슬쩍 언급한 메탈빌드 크로스본 X1 에는 시그니쳐 포즈가 있습니다.

 

듀난협회님 블로그 발췌 메빌 크봉 X1 시그니쳐 포즈

구글이건 네이버건 잘 알려진 포털에서 크로스본을 검색하면 꼭 나오는 사진입니다.

일단, 메빌이기에 가능한 가동부가 몇 있어 완벽히는 힘들겠지만, MG로 최대한 저 포즈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가동역의 문제를 넘어 설계상의 문제로 받는 제약도 있었습니다.


1. 콕핏 커버

메탈빌드는 콕핏 개폐 기믹을 삭제한 대신 망토 고정부를 아예 일체형으로 만들어 교체식으로 장착합니다. 그러나 MG는 콕핏 개폐 기믹이 있으며, 망토 고정부 중 반은 콕핏 커버에 있습니다.

이게 왜 문제냐..

그냥 흐르듯 둔 망토는 상관없으나, 역동적인 동세를 잡은 망토는 무게중심이 틀어지기 때문에 망토 연결부를 위로 들어 올립니다.

문제는 MG의 콕핏 커버에는 별다를 고정 기믹이 없이 단순히 플라스틱 부품의 무게와 중력으로만 슬쩍 닫혀있다는것이죠.

망토 개조기에서 사용한 사진. 약간의 트릭이 있습니다.

앞서 망토 개조기 포스팅의 사진에서는 사실 안보이는
망토 안쪽으로 콕핏커버에 스카치테이프로 고정을 해놨었습니다. 안그러면 콕핏커버가 위로 들리고, 망토 포즈도 어벙해집니다.

자, 문제가 명확하다면 해결법도 명확해집니다.

프라모델 개조의 수많은 방법중 6할은 자석에 있느니...

코어파이터와 결합을 맞춰보며 콕핏커버 안쪽에 어느정도의 공간이 있는지를 가늠해본 후, 적당한 크기의 네오디뮴 자석을 심어줍니다.

개조의 6할이 자석이지만 꼭 자석끼리 붙인다는 법은 없음.

코어파이터의 기수가 꺾이는 부분에 스테이플러 심을 이용해 자력이 당겨질 부분을 만들어 주고, 코어파이터가 사출되었을 때를 고려해 콕핏커버 아랫쪽에도 스테이플러 심을 이용해 자력이 당겨질 구조물을 만들어줍니다.

결과는?

망토를 좀 더 뚫고 뜯고 더럽힐까 고민 중입니다..

이제 망토의 어떤 포즈에도 단단히 고정된 콕핏커버를 갖게 되었습니다. 문제 해결~!!


2. 프론트 스커트

MG 크로스본 X1의 고관절은 전하방 고정축에 의한 회전 방식으로, 고관절 연결부가 움직이는 기믹은 없습니다.

다행히 이 설계로도 제법 허벅지를 끌어올릴 수 있으며, 무릎앉아 등의 가동도 나름 재현이 됩니다만..
프론트 스커트가 수시로 툭툭 빠집니다.

프론트 스커트와 허리 연결핀이 너무 짧고, 스커트와 수평으로 펴지지도 않습니다.
당연히 허벅지를 90도 이상 올리자면 프론트 스커트가 툭 하고 빠져버립니다.

문제점 확인 했으니, 해결하면 되겠습니다.

개조는 언제나 Simple is best

스커트 연결핀 위쪽의 하얀 장갑부품을 파내어 연결핀이 수평각도까지 펴지도록 해주고, 연결핀을 2mm 연장해줍니다.

이제 스커트는 쫙쫙 펴지고 쭉쭉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1. 이전 작업기의 망토
2. 자석으로 고정된 콕핏 커버
3. 개선된 프런트 스커트

이 세가지가 조합되어 드디어 서두에 소개드렸던 메탈빌드의 자세를 흉내내어 볼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허리와 무릎 관절만 좀 더 도와주면 더욱 완벽할 수 있었는데..

종아리가 허벅지에 조금만 더 가까이 붙고, 허리가 앞으로 좀 더 숙여진다면 메탈빌드의 포즈를 똑같이 따라할 수 있겠으나..
이 두곳은 간단한 개조가 아니라 대대적인 스크래치 빌드가 들어가야 가능한 포인트이므로 포기해야 하겠습니다.

MG는 설정화에 충실(하다기엔 부분도색 포인트가 좀 있죠?)하고, 메탈빌드는 어레인지가 상당하니..
저는 포인트 도색으로 그 중간 어디쯤을 노리고 작업했습니다.

폰카라 쬐금 자글자글하게 보이는 느낌적인 느낌??


포인트 컬러는 늘 그렇듯, 제 아이덴티티 컬러인 크롬실버 입니다.
어깨, 소매, 발목, 코어파이터에 조금씩 포인트를 주었고 이제 데칼 작업에 들어가려 합니다.

직업상 연말, 연초가 굉장히 바쁜데.. 그 바쁜 연말이 시작되었으므로 이제 주중에는 프라모델에 손 댈 엄두도 못내겠고.. 돌아오는 토요일에나 데칼 작업을 시작이나 해보겠네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초딩시절 개발새발 만들어보고 이후 관심을 끊은지 30여년만에 회사 업무에 필요하여 뜬금없이

에어로킷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모델은 아카데미과학의 F-35B Lightning II STOVL기 입니다.

항공모함으로의 수직이착륙을 위해 개량된 F-35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업무상 필요한 작업이므로, 목적에 맞도록 도색은 배제하였으며, 스트레이트 빌딩을 하되, 콕핏부만 신경을 썼습니다.

 

시작부터 난항입니다.

장축이 2mm 밖에 안되는 이젝션레버를 도색하랍니다.

콕핏에 집중해야 하니 도색합니다.

 

다음은 전면 터치스크린입니다.

F-35B는 전면에 아날로그 계기 대신 디지털 터치스크린이 있어 기체운용 및 탐지, 무장운용을 전담합니다.

가로가 1Cm 채 안되는 데칼입니다만, 어차피 기체 정보데칼은 가로세로 1mm 정도의 데칼도 많으므로

이정도는 쉽습니다.

 

전면 터치디스플레이 및 스로틀, 스틱, 이젝션시트 등을 모두 조합한 콕핏이 조립완료 되었습니다.

 

아카데미 F-35B 킷은 내부의 디테일은 과감히 생략하되, STOVL기의 특징인 공기흡입구와 토출구는

그럭저럭 형상을 갖추고 있습니다.

 

수직착륙 형태가 필요하므로 각종 흡입/토출구를 전부 개방한 상태로 쭉 조립합니다.

 

F-35B의 가장 큰 특징인 스위블-노즐도 수직착륙 형태에 맞추어 90도로 가동된 형상으로 조립합니다.

 

지옥의 데칼링을 시작합니다.

에어로킷은 30년만에 도전이기도 하고, 애시당초 첫경험이 초딩때 한거라 그냥 에어로 첫경험이라 볼 수 있는데,

습식데칼 자체는 품질이 좋아 어렵지 않으나, 에어로킷이 원래 이렇게 불친절한 것인지..

습식데칼 붙이는 순서가 중요함에도 뭘 먼저 붙여라 라는 코멘트가 없습니다.

 

수평꼬리날개 아래쪽의 MARINES 데칼의 경우 그 아래로 패널데칼이 먼저 붙고 그 위에 레터링이 되어야 하는데,

순서가 있음을 모르고 레터링을 먼저 작업해버렸습니다. 패널데칼은 생략할 수 밖에 없겠네요.

 

데칼링이 어느정도 끝났으면 수직착륙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공중에 띄울 수 있도록 베이스를 자작합니다.

기체에 보이는 위치에 구멍을 뚫기는 싫어서 스위블 노즐 안쪽으로 베이스를 장착하려 합니다.

 

스위블 노즐의 크기를 측정해 1:1 사이즈로 평면도를 그리고, 최적이라 생각되는 위치와 각도로 밑그림을

그린 후 3mm 황동봉을 이리저리 구부려줍니다.

 

단, 수작업인 만큼 그림처럼 직각으로 딱 구부릴 수 없으므로 어느정도의 공차를 염두에 두어 애드립으로

구부림각을 대처하며 작업해야 합니다.

최종 결과물이 아래의 사진입니다.

 

베이스로 삼을 적당한 목재판을 찾아봅니다.

안방 화장대 위에 딱 알맞은 목재판이 있어 이거 뭐냐고 물어보니, 아크릴 액자 받침대인데

액자가 깨져서 아내가 버리려고 뒀다며 쓰려면 쓰라고 합니다.

 

나이스!!

 

무게가 쏠리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3mm 구멍을 타공하고 꼽은 후 기체명을 데칼링 합니다.

 

기체 상부의 가장 큰 패널데칼이 작업 중 접혀버려 비어있습니다.

아카데미과학 홈페이지에서 혹시 데칼만 구할 수 없으려나 이리저리 검색해봤는데 그런 서비스는 없네요;;

 

어쩔 수 없이 같은 킷을 하나 더 주문합니다......

추석 연휴가 끝난 지난 목요일 주문했는데 오늘에서야 배송예정이라 하네요.

연휴중에 작업을 마치려고 했으나 배송일정 덕분에 기간안에 마무리짓지는 못했습니다.

 

이왕 기간안에 못끝낸거, 상부 패널데칼 작업하고 캐노피에 부분도색 약간 한 후에 무광마감까지 끝낸 후에

완성 포스팅을 올리겠습니다.

Cloudtree references class를 약 3년만에 새버전으로 갱신합니다.
이전 포스팅된 버전이 v1.0.2인데 왜 하나 건너뛰어 v1.0.4로 건너뛰었냐 물으신다면,
v1.0.3을 만들어놓고 포스팅하기도 전에 상당한 기간의 상주 개발에 투입되는 바람에... ㅠㅠ
게다가 v1.0.3을 프로젝트에 쓰면서 사업에 맞게 약간씩 수정하다보니, 배포하기엔 코드가 너저분해진 덕분에 이번 배포 버전은 v1.0.4가 되었네요.

각설하고, 이번엔 CPP와 C# 양쪽의 레퍼런스 양식을 최대한 통일하고, 어느 한쪽에만 있던 기능을 양쪽에 상호 이식하였습니다.
물론 이번에도 최종 릴리즈 DLL과 해당 DLL을 적용한 예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프로젝트를 함께 업로드합니다.

 

 

Cloudtree erences v1.0.4
수학 유클리딘 거리 계산 2차원 EuclideanDistance(src_x, src_y, dest_x, dest_y)
3차원 EuclideanDistance(src_x, src_y, src_z, dest_x, dest_y, dest_z)
가우시안 랜덤 값 도출 Gaussian(mean, stdev)
Radian↔Degree 변환 Deg2Rad(deg)
Rad2Deg(rad)
좌표계 위경고도를 이용한
방위각,  고각 계산
LosAzimuthP1toP2(P1_lat, P1_lon, P2_lat, P2_lon)
LosElevationP1toP2(P1_lat, P1_lon, P1_alt, P2_lat, P2_lon, P2_alt)
위경고도를 이용한
두지점 사이의 거리
LatLonDistance(P1_Lat_Deg, P1_Lon_Deg, P2_Lat_Deg, P2_Lon_Deg)
LatLonAltDistance(P1_Lat_Deg, P1_Lon_Deg, P1_Alt_m, P2_Lat_Deg,
 P2_Lon_Deg, P2_Alt_m)
Geocentric(ECEF) ↔ Geodetic(LLA) 변환 Geoc2Geod(x, y, z, lat, lon, alt)
Geod2Geoc(lat, lon, alt, x, y, z)
시간 시간 경과 체크 GetDuration(start_time)
공유
메모리
공유메모리 할당과 해제,
쓰기와 읽기
CreateSharedMemory(SharedMemKey, BufferSize)
CloseSharedMem()
WriteSharedMemory(data)
ReadSharedMemory(data)
보간곡선 보간곡선생성 베지어 곡선 생성 getBezier2DPoList(pos, PosOnCurve, result)
캣멀롬 곡선 생성 getCatmullRom2DPoList(pos, result)
통신 TCP/IP서버 서버 생성 CreateTcpServer(IP, PORT, MaxDatumLength)
서버 연결 ConnectTcpServer()
클라이언트로 데이터 전송 SendDataTcpServer(sendData, length)
서버 종료 DisconnectTcpServer()
TCP/IP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생성 CreateTcpClient(IP, PORT, MaxDatumLength)
클라이언트 연결 ConnectTcpClient()
서버로 데이터 전송 SendDataTcpClient(sendData, length)
클라이언트 종료 DisconnectTcpClient()
UDP 멀티캐스트 멀티캐스트 생성 CreateUdpMulticast(IP, PORT, MaxDatumLength, Purpose)
멀티캐스트 Join ConnectUdpMulticast()
멀티캐스트로 데이터 전송 SendDataUdpMulticast(sendData, length)
멀티캐스트 종료 DisconnectUdpMulticast()
UDP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 생성 CreateUdpUnicast(myIP, myPORT, DestIP, DestPort, MaxDatumLength)
유니캐스트 연결 ConnectUdpUnicast()
유니캐스트 데이터 전송 SendDataUdpUnicast(sendData, length)
유니캐스트 종료 DisconnectUdpUnicast()

 

하기 첨부된 레퍼런스 클래스 예제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열어보시면 사용법은 쉽게 아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번 레퍼런스 클래스와 예제 어플리케이션은 Microsoft Visual Studio 2019(VC16.0)에서 작성되었으며, C#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Net Frameworks 4.0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