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거 뭐 도색은 겨털로 했나요 =ㅂ=);; 실력이 여지없이 드러나네요 '-');;

우선 메탈릭 실버를 깔기전에 베이스로 검은색을 입히는 중입니다.

① 반광 검은색 → 메탈릭 실버 → 클리어 옐로우 → 클리어 레드로 포인트 → 유광마감 → 에나멜 먹선 → 2차 유광마감 → 컴파운딩 의 정석 금색도장으로 가느냐..

② 반광 검은색 → 메탈릭 골드 → 유광마감 → 에나멜 먹선 → 2차 유광마감 → 콤파운딩의 약식으로 가느냐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메탈릭 골드를 유광마감하고 컴파운딩 하면 광이 번쩍거릴지가 관건인데.. 적용예를 못찾겠습니다;;
(라고해도 클리어 입히는 과정만 생략되네요 끙;;)

일단 검은 밑색깔기를 끝내고 결정할 사항이니 잠시 미뤄두고..

도색작업을 워낙 오랜만에 하는거라 거리조절 삑사리로 침뱉는게 방울방울 묻어나기도 하고..
검은색 도색을 하다보니 접합선 수정 덜한곳도 보이고 그러네요.

이럴때 등장하는 절정 자기합리화 레드썬!!
"안보이는 곳은 대강대강한다!!" 는 프라철칙에 따라 설렁설렁 진행중입니다.


지구인의 겨털도색 증거 첫번째 케이스인 가슴부품입니다. 설렁 설렁한 티가 너무 납니다.
표면정리가 덜되서 반들반들하질 못하네요 ㅜ_ㅜ
하지만 이역시 레드썬!! 도색 끝내고 마감후에 컴파운딩으로 번쩍번쩍하게 광을 살리면 감춰지리라 믿어 의심치않습니다.


지구인의 겨털도색 증거 두번째 케이스인 머리입니다.
접합선 수정을 겨털로 했는지.. 위쪽으로 갈수록 킷 접합면이 녹아서 솓아오른걸 덜갈아낸것이 보입니다.
이건 광빨로도 커버가 안되는 부분인데.. 하지만 레드썬!!
전 선량한 지구인이니까요 '-')a

그냥.. 한참 밑색깔다가 허리가 아파서 잠시 쉴겸 흡연중 똑딱이가 보이길래 한번 찍어봤습니다 '-')a

wave사에서 나온 1/144 스케일 The knight of gold ver.lachesis 입니다.

F.S.S 킷은 처음 접하는 분야인데.. 참 여러모로 재미있는 킷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최고로 어려웠던 킷은 반다이의 1980년 생산된 구판 화이트베이스와 아오시마에서 나온 스타 가오가이가였는데 이번 K.O.G를 기점으로 순위가 변동되었습니다.



부품의 85%는 가이드핀이 없고, 있다고 해도 있으나 마나하더군요.
(숫핀이.. 아니 그 이전에 핀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그냥 작은 뾰루지같은 돌기..;;)
접착없이는 단 한부분도 조립이 안되는 그야말로 향수를 자극하는 고전 스타일 손맛 ㅋ

사실 반다이의 스냅핏이 이상한거에요 -ㅂ= ;;
그 스냅핏이 기존의 프라작업과는 상반되면서도 반다이 킷만의 오소독스한 맛을 만들어냈지만
사실 반다이 이외에 그렇게 접착없이 가조만으로 킷이 완성되도록 설계되는 프라는 없지요.

일단 3~4일을 들여서 접합선 수정, 및 서페이서 전에 보이는 싱크마크 수정 후 접착을 상태입니다.

약 1년 반의 기간동안 아오시마 가오가이가를 통해 익힌 노하우는 전부 들어간듯 싶습니다.

허리부품과 가슴 부품은 원래 접착을 하라고 되어있지만, 허리와 골반부품이 만드는 가동각이 매우 협소하기에
허리와 가슴부품을 네오디뮴자석으로 고정하여 도색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허리 가동률도 올려주었습니다.

무릎의 가동각도가 20˚ 정도밖에 되지않기에 부품을 약간 성형해서 대강 80˚까지 구부러지도록 개조했구요.

어깨아머의 결합은 놀랍게도 부품 설계 자체가 "이건 C형가공 하세요" 라고 써있는듯 되어있더군요.(왠일로!!)
그대로는 핀이 부러질것처럼 생기긴 했지만.. 아무튼 팔 상박에 C형가공비슷하게 길이 나있었습니다.
어깨아머의 핀이 부러지지 않도록 팔 상박의 C에서 터진부분 길을 사다리꼴 형으로 넓혀주기만 했습니다.

부품의 미성형으로 엉덩이 뒤 버스터런쳐 지지대의 1차 행거가 제모양이 안나와서 반쪽에 가까웠기에
프라판과 퍼티로 반쪽을 만들어주어 접착했습니다. 이곳 외에도 두개의 부품이 미성형이더군요.. 이놈의 뽑기운;;

단차가 상당했고, 가이드핀이 없이 접착하다가 부품의 맞물림이 비틀려 생긴 후천적 단차도 꽤 되기에
면정리를 위한 사포질 후에 패널라인이 꽤나 닳아 사라졌습니다. 패널라이너로 일일히 다시 다 파주었죠 ㅜ_ㅜ

이제 문제는.. 광빨 금장을 해야하는것인데..
나흘정도 오덕력을 불태우며 조립완료하고보니.. 진이 다 빠졌습니다.
원래 계획은 서페이서후 사포질(x 무한대) -> 유광검정 -> 메탈릭 실버 -> 클리어 옐로우+클리어 오렌지 라는 일반적인 광빨 금장이었는데.. 지금 솔찍한 심정으론 그냥 금색 깡통 스프레이 슈슉 해버리고 끝내고싶네요;;

귀차니즘을 이겨내고 광빨도색을 하겠지만(아마도?) k.o.g 도색을 끝내면 왠지 오덕력이 3억5천만 기간트라를 넘길것같습니다. k.o.g 도색 참고용 자료를 모으며 겸사겸사 레드미라지 개조 포인트도 찝어봐야겠습니다.
 
이건 뭐 답이없어요 ㅜㅜ

모든 파츠의 접합선은 항상 눈에 가장 잘보이는 중간을 가로지르고..

접착제가 없다면 그 어떠한 부품도 결합할 수 없습니다.

가이드핀 숫놈이 고자라서 그렇긴한데.. 1980년에 제조된 이 제품의 퀄리티가 당시의 프라기술로 어느정도인건지 모르겠네요.

혹시 당시의 프라모델이 전부 이정도 수준이라면 격동의 1980년대 프라모델러를 존경해버릴껍니다 ㅜ_ㅜ

어찌어찌 모양새만 나오게끔 덩어리 단위로 조립해놓았고, 나머지부분은 도색후 접착해야 하는 부분이라 더이상 손댈부분은 없네요.

.. 간만에 미친듯한 물사포질을 했습니다.

덕분에 사진에서처럼 접합선은 전부 사라졌지요.
문제는 패널라인을 더 깊게 파줘야한다는건데.. 철필이 없습니다 전;;

p-커터로 패널라인을 파곤했는데..
하도 사포질을 해대서 p-커터로 그었다간 패널라인이 아니라 그냥 잘려버릴꺼같네요;;

어디서 패널라이너나 철필을 좀 구해야겠습니다.

자기전에 한두시간씩 찔끔찔끔 하느라 고작 요정도 만드는데 나흘정도 걸렸네요;;

.. 도색은 또 언제하니.. 화이트베이스 정말 너무하는거 아니니 ㅜ_ㅜ ?

2009-09-11
JPEG, MPEG 표준의 영상처리 기법으로 보통 DCT를 많이씁니다.
신경망 중에서도 classification, feature extracting, pattern recognition 등의 분야에서 DCT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자주 접하지요.
관련 레퍼런스를 정리하는중 DCT, wavelet 등에서 왜 8x8의 블록기반 변환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상당히 부실하게, 또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자료들이 대부분이란걸 발견하고 매우 놀랐습니다.

뭐.. 이렇게 말하면 제가 영상처리는 기본 베이스로 완벽마스터라도 한것처럼 들리겠네요;;
저도 뭐 아직 공부하는 입장에서 알고있는 사실을 간략하게나마 기술해서, 새로이 공부하는 후학분들의 가려운곳을 살짝 긁어드릴까하고 쓰는 포스팅입니다.

그럼 다시 원론으로 넘어가서.. 왜 8x8의 블록처리인가..

십수년을 거슬러 올라가 때는 바야흐로 1992년..
ISO, CCITT에 의해 JPEG 국제 표준 부호화가 권고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이미지 압축/처리에 대한 방식의 표준화로 이미지의 픽셀들을 가로 세로 8픽셀의 윈도우로 묶어 DCT를 한 후, 그 결과로 나온 DC 및 AC 성분들을 좌측 위에서부터 지그재그 스캐닝하여 8x8 행렬의 2차원 데이터를 64x1 행렬의 1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자는 표준안이었습니다.

왜 블록으로 묶느냐 하면.. 실제로 256x256 사이즈의 이미지를 한방에 DCT 하자면 연산량의 방대함은 이루말할수도없고 어지간한 컴파일러는 DCT 도중 메모리부족 경고가 뜨며 튕겨버립니다.(..라고 누가 그러던데 전 애초에 256x256을 한방에 DCT해보려는 무모한 시도는 하지도 않았습니다;;)

반면 이미지를 8x8 사이즈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기 계산하면 계산량은 물론이거니와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 연산 속도면에서 월등하지요.
실로 체감속도면에선 거의 1/1000 정도 빠르다는게 256x256 과 8x8을 비교해본 사람들의 공통된 주장입니다.

그럼 8x8 B-DCT후 지그재그 스캐닝을 왜 하느냐.

DCT 자체가 이미지(B-DCT같은경우엔 블록)을 코사인함수의 시리즈로 나타내는 방법이며, DCT 후 패턴을 보면 가장 중요한 정보를 담고있는 DC가 최상단 왼쪽구석에 붙고, 우측하단으로 갈수록 쓰잘데기없는 AC성분이 배열됩니다.
AC성분은 보통 Quantization을 통해 0으로 날려버리는 노이즈이지요.
굳이 필요없는 AC는 버리고, 중요한 DC와 DC주변의 계수를 앞으로 배치시키기 위한게 지그재그 스캐닝입니다.

256x256의 이미지를 DCT한다면 지그재그 스캐닝만 해도 엄청난 시간이 들어가겠네요;;

뭐 잡설도 많이붙고, 글이 산으로 가는것같으므로 줄이겠습니다.

국제표준보후화에대한 권고사항에 의해 대부분의 JPEG, MPEG 포맷 영상은 8x8 B-DCT(Block-Discrete Cosine Transform)을 기본으로 하며, 신호 또는 영상을 통째로 DCT할때보다 cost가 싸기때문에 8x8의 B-DCT를 행한다는게 이번 포스팅의 주요내용이었습니다.

2009-09-09
 
.. 에.. 그냥 충동적으로 질렀습니다.
보통은 뭔가 지르고나면 자랑하고픈 마음에 바로 포스팅하는 편입니다만..
이번 화이트베이스는 제가 그렇게도 열렬히 사랑하는 건프라이면서도.. 그중에도 입에 침이 마르도록 언급하는 기동전사 건담의 굿즈임에도 이제서야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 그도 그럴것이.. 이거뭐야.. 몰라.. 무서워;; ㅎㄷㄷㄷ;;

생산년도 1980년.. (이면 제가 태어나기 3년전이네요 OTL)

런너번호같은거 없음. 그냥 부품마다 전부 번호..

.. 스냅핏 방식 아님. (이게 제일 큰 두려움이네요;;)
스냅핏이 아니란건 어차피 접합선수정을 위해 무수지접착할때마다 가이드핀을 잘라냈으니 상관없겠지 라고 생각했지만..
이 고자같은 가이드 숫핀은 접착이외엔 가조자체도 불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일단 눈치껏 도색을 위한 부품의 분할을 고려하며 센스있게 접착해가며 조립하고..
여차하면 접착한걸 다시 절단해내가며 만들어가야겠습니다.

.. 아 참고로 런너는 (옥색 비스무리한)하얀색, 빨간색, 파란색 되겠습니다.
런너가 통째로 한색깔이라.. 하얀색이어야 하는데 빨강 또는 파랑으로 뽑혀나온 부품은 어쩌지 ㅎㄷㄷ;;
(도색과정 중 무언가 다른색 위에 흰색을 칠하는것이 가장 손도 많이가고 어렵습니다. 보통 노력으론 밑에깔린 색이 비쳐보이니까요 ㅜ_ㅜ)

어떻게든.. 우선은 가조만이라도 마치고 사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2009-09-07

<강력주용 6만점 셋팅>

<10만점 세팅>
 
 
*** 요약 설명 *********************************************************************************

중요 포인트
   1) 강력주 작업 10판 연속하기 구매 수량
   2) 다른 점수대 갤러리를 하고 싶은 분을 위한, 6만점대 베이스 모든 점수대 내기
       (이유 : 가구 창고 부족, 가구배치등록 2개만 가능)

*** 강력주 & 마이갤러기 기초 지식 **************************************************************

강력주 최초 베스트팁 바로가기 : 작성자 마스티코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1753&query=view&l=15

강력주 재정리 바로가기  : 작성자 란얀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1755&query=view&l=1424
** 처음 하시는분은 작성자 : 란얀 바로가기 필독 !!!!!

***** 6 만점대 강력주 작업 10판 하기 ************************************************************
  10판씩 묶어서 하는걸 추천하는 이유
         1)  기억하기 용이하다.
         2)  속도가 빠르다
         3)  63만 제니만 있음 된다.
  

조합상점 :  10판수량 : 속빈열매 600, 화약초 100  (속빈열매60, 화약초 10개 / 1판당)
엑스상점 :  10판수량 :                     수면초  20  (수면초2개/1판당)

가구상점 :
     소재로구입      >>   바닥용품  >>  
                                                        과일바구니소 ............ 10   개  (9개 / 1판당 )
                                                        과일바구니대 ............ 10   개  (1개 / 1판당 )    -- 10 판용
     제니로구입      >>  바닥용품  >>  
                                                        붉은식기세트 ............  10   개  (10개 / 1판당 )
                                벽용품     >>  
                                                        봉오리램프[청]........... 10   개  ( 9개 / 1판당 )
                                                        봉오리램프[분홍]........ 10   개  ( 1개 / 1판당 )  -- 10 판용

                                매번 추가로 구매할 것 (이유 : 가구 창고의 부족 )
                                                        과일바구니소 10개 (소요량 9개이지만..제니로 받는 스탬프 땜에)
                                                        붉은식기세트 10개  
                                                        봉오리램프청 10개 (소요량 9개 이지만 구매편의상)

                                

*** 10만점 대 갤러리 10판 하기   *****************************************************************

6만점 소재 구매 +  

조합상점  :  10판 수량  : 개다래 100개                    (10개/ 1판당)
도구상점  :  10판 수량  : 큰술통 40개, 작은술통 100개 (큰술통4,작은술통10 / 1판당)
채굴       :  10판 수량  : 철광석 120개(12개 / 1판당)

가구상점 :
    엑스트라(소재)   >>  바닥용품  >>    특대술통[적].......... 10개 (1 개 / 판당)
                                                        술통[고양이발]......   10개 (9 개 / 판당)

    엑스트라(제니)   >>  바닥용품  >>   푸른광택식기세트...... 10개 (9 개 / 판당)
                                                       푸른광택테이블........ 10개 (1 개 / 판당)
  
                                 매번 추가로 구매할 것  (이유 : 가구 창고의 부족 )
                                                       술통[고양이발]......  10개 (9 개 / 판당)_이거슨?
                                                       푸른광택식기세트..... 10개 (9 개 / 판당)



  *** 처음 하는 분이 마이갤러리 가구 배치전 준비해야 되는 것 : ************************************

     1. 가구구입 레벨 별넷 띄우기(가구상점 스탬프특전에서 구매) : 작성자란얀 [강력주 재정리 참조]
            - 이유 : 가구 구입 레벨이 올라가면 구매할수 있은 가구의 종류가 늘어남.
                       위에 배치된 일부 가구는 가구구입레벨4 (별넷)에서 목록이 생김

      2. 한번 배치후 가구배치 등록후 불러내기로 사용 (2개 배치 등록 가능)
  
      3. 대회심사 참가전 :    가구창고에 예비가구 1셋 반드시 구비
                                     (만일 그렇게 안하면 가구배치 등록된 내용이 바뀜)

                                    (초보자 중요...반드시 확인)-
                                    가구배치를 한번만 하느냐
                                    등록된것이 망가져서 여러번 하느냐
                                    는 이것에 달려 있음.


*** 다른 점수대 내는 포인트 (10만점 배치후 특정가구 제거..) ***************************************

9만점대 : 붉은식기세트    1개 제거
8만점대 : 푸른광택테이블 1개 제거
6만이상~8만미만 : 푸른광택가구 및 술통제거
2만점대 : 바구니 와 술통만 배치...


*** 6만점대에서 추가되는 비용은 얼마일까요? .<마이갤10만점> **************************************
* 엑 소재구입 >> 바닥용품
  특대술통(적) 1개 (4,100) = 큰술통4개(210*4=840) + 철광석2개
  술통고양이발 9개 (3,200*9=28,800) = 작은술통1 + 철광석1+ 개다래1
* 엑 제니구입
  푸른광택식기세트9개 (4,530*9=40,700)
  푸른광택테이블1개(17,200)
*추가비용합계
   4,100 + 840 + 28,800 + 40,700 + 17,200 = 91,640

작성자 : [태극기]수렵단  : http://cafe.naver.com/mhftgg            

2009-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