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에 쓰던 테프론 와이어는 강성이 있어 꺾이거나 휜 상태에서 힘을 받으면 끊어지는 경우가 잦음
- 36 AWG 리츠 와이어 테스트 해보니 연성이 좋고 꺾이고 다소 눌리는 정도로는 단선 안됨
플라스틱 초미세 마이크로 리츠 와이어 납땜 고전도 구리 케이블, UL10064 FEP 와이어, 40 36 34 32 30 28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 단, 기존 테프론 와이어 쓰던 방식으로 납땜을 하려니 땜이 잘 안됨
- 구글링 중 라디오 관련 다음카페에서 원인으로 추정되는 정보글을 발견
| 운영지기 09.08.31 라이타 불로하면 리츠선 끝 타버리고 납도금 다시 먹일려면 안좋습니다 니퍼 커트후~인투팁으로 리드선 끝을대고~ 납먹이면 리츠선 피복제는 타버리면서 납도포되고 가장 좋은것 같습니다.. okbari 09.08.31 페이스트(납땜용.. 일반적으로 동그란 노란통에 들어있죠) 약간 발라서 인두로 납 먹이면 잘 됩니다. 가스 라이타로 태우면 구리가 산화되어 납이 먹지 않습니다. 꼭 페이스트 사용하여 땜 하세요~ 라디오맨 09.09.03 리츠선납땜은 ...프로전문가들은 이렇게합니다.. 납조온도를 400도로 올리고 ..플럭스를 묻힌다음 납조에 넣으면 ..피복은타서없어지고..심선은 깨끗하게 납땜이됩니다 대량생산할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일반인은 납조가 없으므로..인두기온도를 최대한 올리고 300도이상..플럭스를 묻히고..인두기로 살살 지져주면.. 인내심을 가지고..납이 잘 붙습니다..절대로 칼로 긁어내거나하면 절대실패합니다..이상 수십년 노하우 공개햇습니다...^^ |
기존 테프론 와이어의 피복을 벗기기 위해 와이어 스트리퍼를 썼는데, 36 AWG의 리츠 와이어는 너무 얇아(직경 0.127mm) 스트리퍼로 피복을 벗길수 없어 땜질할 끝쪽 피복을 라이터로 태워 벗겼는데, 이것 때문에 납이 안먹었던 것으로 추정됨.
현재 사용중인 납땜 인두 온도가 약 450도까지 셋팅 가능하므로 솔더링 페이스트 묻힌 후 납먹인 인두로 끝을 지져 피복을 벗기며 동시에 와이어 끝에 납을 먹이는 것이 옳은 방법으로 보임.
오늘 밤 테스트 해볼 것.
# 내용 추가
SMD LED 납땜을 위해 납땜틀을 만들어 쓰고있기는 한데, 최근 바닥판 나무가 많이 타서 성능이 시원찮음.
납땜틀 다시 만들기 귀찮은 와중에 제법 쓸만할 것 같은 다른 방법을 발견.


정밀핀셋에 SMD LED 물리고 핀셋을 집게로 물려 고정.
나름 괜찮은 방법일 것 같으나 영상의 SMD는 2012 사이즈. 내가 쓰는건 1608 사이즈이므로 테스트를 해볼 필요가 있음.
# 내용추가 2

# 내용 추가
내가 좀 안일했음. 알리 판매처에서 색상별 동작전압 별도 표기를 안했길래 전부 3v라고 생각했으나, 그런거 없음.
아래 표를 참고하여 빨강 노랑 주황은 120Ω, 초록 노랑은 82Ω 저항을 달아야 함.

# 내용 추가 (25.11.03)
주말간 LED 작업을 하며 테스트해본 결과를 내용추가로 정리합니다.
1. 그간 사용했던 1608 SMD LED 납땜용 전용 틀보다 정밀핀셋에 물린 후, 핀셋을 납땜용 문어다리 집게에 물려 납땜하는 방식이 작업 속도도 빠르고 수월함을 확인. 역시 시야는 항상 넓게 열어놔야 할 일입니다.
2. 380도로 예열한 인두에 새 납을 먹인 후 리츠와이어와 랩핑와이어 끝을 지져 피복을 태우는 방법 유효함 확인. 라이터로 태워 피복을 벗겼을 때 보다 확실히 납이 잘 묻고, 납땜 실패율이 현저히 줄어듬. 리츠와이어 또는 랩핑와이어 끝을 솔더링 페이스트를 살짝 찍어 바른 후 하면 더 잘됨. 1번의 정밀핀셋 동원 방법과 혼용 시 1608 SMD LED 납땜 작업이 매우 수월해짐.
3. 빨간색 LED는 2v 동작전압이 맞았음. 120Ω 저항을 캐소드 쪽에 연결해 안정적인 점등 확인. 녹색은 3v를 인가해도 큰 문제 없음 확인. 상기 내용들 종합하여 1/100 무등급 티에렌 지상형의 LED 작업을 주말간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