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핵심내용 요약.

 

  - 인식은 됐지만 포맷이 진행되지 않는 저장 디스크 사용하기. 

 

 1. 인식은 됐지만 포맷이 완료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는 장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클릭합니다.

 

 2. '하드웨어 탭' 에서 포맷이 되지 않는 HDD를 선택하고 '속성'을 클릭합니다.

 

 3. '정책' 탭에 두가지 중 선택이 있을 것입니다. 두가지 중 '향상된 성능'에 체크하시고 확인.

 

 4. 이제 다시 NTFS 포맷을 진행해 보시면 포맷이 되고 문제없이 잘 사용될것입니다. 

  

 

 

 

새빛마이크로의 Datamore Dock3 plus를 구입했습니다.

 

일전에 구입한 1테라 하드디스크가 SATA3 인데.. 뒤늦게 내 메인보드에 SATA3 포트가 없다는걸 깨닳았습죠..;;

거의 반년여를 잊고살았던 1테라 하드는 그렇다 치고..

 

최근 저장공간이 많이 모자라다고 느끼던 차에 2테라 하드를 새로 구입했습니다.

다나와에서 검색할때 분명 SATA2로 검색조건을 설정해놓고 나온걸 주문했는데, 막상 받고보니 SATA3 더군요 =ㅂ= ;;

WD20EARX 캐비어 그린 인데.. 뭐 받아들고 보니 묵혀둔 1테라 하드가 생각나더군요.

 

메인보드를 SATA3 지원 보드로 바꾸자.. 라고 보니 i5 750 린필드용 1156소켓에 SATA3 있는 메인보드는 대부분 단종되고

남아있는 유일한 제품이 40만원 중반대의 가격이었습니다.

 

차라리 i5 3세대 샌디브릿지에 메인보드를 새로 사도 30만원 중반대인데 -_-^

 

그러던차에 HDD Dock이 생각나서 부랴부랴 구입한게 바로 이 제품입니다.

 

2-bay 라 1테라와 2테라 하드 두개를 모두 꼽아 쓸 수 있고, 디자인도 깔끔하니 괜찮아 보이더군요.

 

 

처음 받아본 소감은..

"씨X 이거 뭐야 왜 안돼?!?!"

 

1테라 하드는 삼성, 2테라는 웨스턴디지털 제품인데.. 분명 HDD 인식도 되고 파티션 할당도 되는데

포맷이 안되어서 쓸 수가 없었습니다;;

 

하루종일 별 짓을 다해보다가 결국 어젯밤은 포기하고 오늘 다시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멀쩡하던 메인 HDD도 맛이 갔더군요. ntldr missing 에러 메세지를 뿌리며 부트영역이 꼬여버렸습니다.

 

이걸 해결하려고 이것저것 또 검색하다가 윈7 부팅용 usb를 만들게 됐는데,

노트북으로 제 usb를 포맷하려는데 NTFS로 포맷이 안뜨더군요.

또 검색을 해보니 속성 설정에서 제거 정책에 '향상된 성능' 설정을 해줘야 뜬다는걸 알게됐습니다.

해당 설정을 해주자 NTFS 포맷이 정상적으로 이뤄졌고, 결과적으로 메인 HDD의 부트영역은 제대로 복구가 됬습니다.

 

호오.. 잠깐?! 이거 새 하드에 설정하면 되는거 아닌가??

 

시도!!

 

그리고 성공!!

 

이틀에걸친 HDD Dock 확장을 결국 성공리에 마쳤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쓰는 이유도 혹시 저와 같은 증상을 겪는 분들이 있을까 싶어서 이구요 ㅎㅎ

 

새빛마이크로 제품이든 혹 어느 제품이든, 또는 HDD Dock이 아니더라도 새로 구입한 HDD가 인식도 잘되고

파티셔닝까지 잘 끝냈는데 포맷이 완료되지 않았다며 사용불가능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인식은 됐지만 포맷이 완료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는 장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클릭합니다.

 

 2. '하드웨어 탭' 에서 포맷이 되지 않는 HDD를 선택하고 '속성'을 클릭합니다.

 

 3. '정책' 탭에 두가지 중 선택이 있을 것입니다. 두가지 중 '향상된 성능'에 체크하시고 확인.

 

 4. 이제 다시 NTFS 포맷을 진행해 보시면 포맷이 되고 문제없이 잘 사용될것입니다. 

 

 

 

 

 

 

etc..

natsvc.exe 차단

2012. 7. 24. 14:37


국내 자료실 등을 이용하다 보면 쥐도새도 모르게 깔려있고, 지워도 지워도 언젠가 한번씩 찾아보면 여지없이 또 깔려있는 지긋지긋한 그리드 딜리버리 프로그램들..


그중에도 최고라면 natsvc.exe 가 아닐까 싶네요.


이 natsvc를 작업관리자에서 강제종료 시켜주신 후 첨부의 배치를 실행하시면 natsvc를 차단해줍니다.



natsvc_disable.bat


1. Code Project에서 파일 복사(http://www.codeproject.com/Articles/8/MFC-Grid-control-2-27)

(본 포스트에는 하단에 파일을 직접 업로드 했습니다. 추후 저작권 관련 문제 발생시 삭제합니다.)


2. 이 상태에서 컴파일을 하면 오류가 발생하므로 MemDC.h 파일 내의 CMemDC 클래스의 이름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


3. 커스텀 컨트롤 추가(ID를 IDC_GRID라고 해 본다)


4. 속성 -> Class 에 "MFCGridCtrl"이라고 넣음


5. 헤더파일에 #include "GridCtrl.h" 추가


6. 변버변수 추가 CGridCtrl m_Grid;


7. DoDataExchange에서 아래 내용 추가

   DDX_GridControl(pDX, IDC_GRID, m_Grid); // 추가


8. 초기화 한 다음 사용


9. 아래는 대충 샘플 코드


void CTab1Dlg::DrawGrid(CGridCtrl &tmp_grid)

{

tmp_grid.SetEditable(FALSE);

tmp_grid.SetListMode(TRUE);

tmp_grid.EnableDragAndDrop(FALSE);

tmp_grid.SetTextBkColor(RGB(0xFF, 0xFF, 0xE0));


tmp_grid.SetRowCount(13);            //5행

tmp_grid.SetColumnCount(2);        //4열

tmp_grid.SetFixedRowCount(1);        //1고정 행

//tmp_grid.SetFixedColumnCount(1);    //1고정 열


//int aa = tmp_grid.GetColumnWidth(0);

//int bb = tmp_grid.GetColumnWidth(1);

tmp_grid.SetColumnWidth(0,120);

tmp_grid.SetColumnWidth(1,70);


DWORD dwTextStyle = DT_CENTER|DT_VCENTER|DT_SINGLELINE;    //Text 스타일 정의

for (int row = 0; row < tmp_grid.GetRowCount(); row++) 

{

for (int col = 0; col < tmp_grid.GetColumnCount(); col++) 

GV_ITEM Item;

Item.mask = GVIF_TEXT|GVIF_FORMAT;

Item.row = row;

Item.col = col;


//셀의 텍스트 설정

if (row == 0 && col==0) 

{

Item.nFormat = DT_CENTER|DT_WORDBREAK;

Item.strText.Format(_T("시스템 명칭"),col);


else if (row == 0 && col==1) 

{

Item.nFormat = DT_CENTER|DT_WORDBREAK;

Item.strText.Format(_T("현재 값"),col);


else if (col < 1) 

{

Item.nFormat = dwTextStyle;

Item.strText.Format(_T("시스템 %d"),row);


else 

{

Item.nFormat = dwTextStyle;

Item.strText.Format(_T("%d"),row*col);

}

tmp_grid.SetItem(&Item);  


//셀의 색상을 랜덤으로

/*

if (rand() % 10 == 1) {

COLORREF clr = RGB(rand() % 128+128, 

rand() % 128+128, 

rand() % 128+128);

tmp_grid.SetItemBkColour(row, col, clr);

tmp_grid.SetItemFgColour(row, col, RGB(255,0,0));

}

*/

}

}

//1행 1열은 read-only로 설정

//tmp_grid.SetItemState(1,1, tmp_grid.GetItemState(1,1) | GVIS_READONLY);


//셀 너비는 자동으로 설정

//tmp_grid.AutoSize();

tmp_grid.SetRowHeight(0, 3*tmp_grid.GetRowHeight(0)/2);

}

 

출처 : http://eachan.tistory.com/36 (기린 인간님의 티스토리 블로그)

 

 

gridctrl227_src.zip

 

gridctrl_demo227.zip




추가.

GridCtrlWithMergeCellAndFreezePane.zip


코드프로젝트에서 위 소스에 Cell merge와 freeze를 추가한 코드를 발견.




2012년 5월 1일 작업을 시작한 1/400 RMS 타이타닉의 작업이 끝났습니다.


조금더 신경썼으면 그만큼 결과물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약간 남지만, 

완성된 모형을 보고있으면 또 나름의 뿌듯함이 밀려오기도 하는 작품이네요.


LED 기판 작업에 있어서는 이전보다 레벨업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고,

빅스케일 취향인 입장으로는 손톱보다 작은 부품들을 다루며 안계를 크게 넓힌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


완성해놓고 사진촬영에 애를 좀 먹었는데..

크기가 너무 커서 로봇모형 전용으로 쓰던 배경지의 가로폭을 넘어가버리는 바람에 측면 촬영은 침대위에서 커튼을 배경삼아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ㅂ= ;;


차후 촬영 스튜디오가 좀 더 그럴듯하게 구성되면 재촬영을 하겠다 다짐하는걸로 이번 촬영은 요정도로 패스합니다 ㅋㅋ





















Pla-Modeler

1/400 RMS TITANIC - 5

2012. 6. 19. 14:27

사담이지만.. 

전 소주를 두병정도 마셔도 크게 취하지 않고 세병이상 마시면 취하지만 주사가 없어 실수를 하는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맥주는 이상하게 몸에서 안받는건지, 500cc 두잔만 마시면 상태가 이상합니다.

어제가 그 맥주 500cc 두잔을 마신 날이었습니다.


귀가해서 뜬금없이 영화 콘스탄틴이 보고싶다고 자료실에서 포인트로 구매 다운로드를 걸어놓고,

영화 받는동안만 건드려야겠다 하면서 타이타닉을 꺼내들었는데..


정신차리고 보니 새벽 두시가 넘어있었네요 =ㅂ= ;;


리깅 자체가 워낙 초정밀 작업이기도 하고, 술이 취한상태에서 삑사리 안내고 하려다보니

시간에 대한 개념이 증발해 버렸던 것 같습니다.




선수 리깅에만 세시간 잡아먹은 결과물입니다;;

술취한 상태에서 한 것 치고는 축 쳐진곳도 없고 지나치게 팽팽해서 부품을 휘게 만드는 곳도 없네요..

정말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ㅜ_ㅜ)b


술마시고 리깅 안하려구요.

한번 삑사리 내면 수습하기까지 지옥 수라장을 방불케 하니까요 ㅜㅜ

Pla-Modeler

1/400 RMS TITANIC - 4

2012. 6. 18. 11:19

슬슬 마무리 단계에 들어갑니다.


1. 세부 디테일 조금 더 파기

2. 갑판 난간 및 닻 설치

3. 마스트를 올리고 리깅


3가지 정도 작업이 남았고, 아마 주중으로 완성이 되지 싶습니다 ㅋ


선체 홀수선 도색을 하고 건조를 기다리며 갑판상부 객실 등을 싹 조립했습니다.

나머지 연통들은 주변에 객실 등 LED가 몰려있는데, 3번 연통은 비교적 주변 점등부가 적어서 밝기가 약간 덜밝습니다.

.. 이정도는 허용범위 이므로 레드썬!!



선체 도색의 건조가 생각보다 빨라 1차 가조립을 해봤습니다.



난간설치가 안되서 선수와 선미 틈사이로 빛이 새고 있습니다;;



불 끄고 한번 더 ㅎㅎ



지금은 책상위에 올려두고 홀수선의 완전 건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LED를 켜놓은 사진에선 리깅한게 안보여서 일부러 찍은건데 이사진에서도 거의 안보이긴 하네요 =ㅂ= ;;

선박모형의 꽃은 리깅인데..;;

어쨋든 퇴근 후 난간을 설치하고 마스트를 세워야겠습니다.



.. 지금 막 사진 업로드 하다가 눈치챘는데, 갑판객실 2층의 불이 꺼져있네요.

전원 커넥터가 빠졌거나, 전원 분배기 쪽에 문제가 있는것 같은데.. 뗌질을 또 해야한다면 추가 작업시간이 ㅜㅜ